행복은 과연 타고나는 것일까요? 아니면 훈련으로 습득할 수 있는 기술일까요?
현대 심리학의 거장 마틴 셀리그만(Martin Seligman) 박사는 이렇게 말합니다.
“행복은 과학적으로 설계 가능하며, 누구나 스스로 연습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 글에서는 셀리그만이 개발한 **긍정심리학(Positive Psychology)**과 PERMA 모델을 기반으로,
어떻게 우리의 삶에 ‘지속가능한 행복과 웰빙’을 구현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마틴 셀리그만과 긍정심리학의 탄생 배경
기존의 심리학은 대부분 우울증, 불안, 외상 등 결핍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그러나 셀리그만은 질문을 바꿨습니다.
“어떻게 하면 사람들이 더 행복하고 건강한 삶을 살 수 있을까?”
이 질문에서 출발한 긍정심리학은 1998년 미국심리학회장으로서의 연설을 통해 공식적으로 출범했습니다.
그는 “심리학은 단지 질병을 치료하는 도구가 아니라, 삶을 의미 있게 만들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PERMA 모델: 행복을 구성하는 5가지 핵심 요소
셀리그만은 행복의 구조를 과학적으로 분석했고, 이를 PERMA라는 모델로 정리했습니다.
PERMA는 아래의 다섯 가지 요소로 구성됩니다. 이 요소들은 행복을 위한 독립적이면서도 상호보완적인 기준입니다.
1. Positive Emotion (긍정 정서)
긍정적인 감정을 자주 경험할수록 삶의 만족도는 높아집니다.
감사, 희망, 만족, 사랑과 같은 정서를 자주 경험하면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도 강해집니다.
실천 방법:
- 하루에 감사한 일 3가지를 기록한다.
- 기분 좋은 경험을 되새기며 되돌아본다.
- 나를 기분 좋게 만드는 사람과의 시간을 의도적으로 만든다.
2. Engagement (몰입)
몰입(flow)은 시간의 흐름을 잊고 완전히 집중하는 상태입니다.
사람은 어떤 일에 몰입할 때 진정한 기쁨과 의미를 느낍니다.
실천 방법:
- 내가 좋아하거나 잘하는 활동에 집중하는 시간 확보
- 업무 중 특정 시간에 스마트폰이나 알림을 차단
- 취미, 운동, 글쓰기 등 스스로 빠져들 수 있는 활동 선택
3. Relationships (관계)
행복한 사람들의 공통점 중 하나는 ‘좋은 인간관계’를 맺고 있다는 것입니다.
정서적으로 지지받는 관계는 정신적 안정감과 회복탄력성을 높입니다.
실천 방법:
- 하루에 한 명 이상에게 진심 어린 안부 문자 전송
- 공감하는 대화와 경청의 태도 실천
- 친밀한 사람과의 만남을 일정에 계획적으로 포함
4. Meaning (의미)
삶에 의미가 있다고 느낄수록 심리적 에너지는 커집니다.
이는 단순한 행복을 넘어 삶의 방향성과 철학적 가치로 이어집니다.
실천 방법:
- 내가 소중히 여기는 가치를 정리하고 글로 써보기
- 자원봉사, 가족 돌봄, 공동체 활동 등 나보다 큰 존재에 기여
- 매일 자신이 하는 일이 사회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고민
5. Accomplishment (성취)
작은 목표라도 꾸준히 달성하면 자존감과 자기 효능감이 상승합니다.
자기효능감이란 “나는 할 수 있다”는 믿음이며, 이는 모든 성장의 출발점입니다.
실천 방법:
- 하루 1개 ‘작은 목표’를 설정하고 완료하기
- 성취 후에는 스스로에게 인정을 주는 습관 형성
- 장기 목표를 주간/월간 단위로 쪼개서 계획 수립
실제 사례: 긍정심리학을 실천한 기업과 학교
-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공립학교: PERMA 기반 SEL(사회·정서 학습) 프로그램을 도입해 학생들의 정서 안정과 학업 성취가 상승함.
- 구글(Google): 몰입 환경 조성 및 감사문화 정착을 통해 직원 만족도와 생산성을 동시에 향상시킴.
- 뉴질랜드 군대 및 교도소: 회복탄력성 훈련에 긍정심리학 원리를 도입해 사회적 재적응률 증가에 기여.
관련 도서 추천 (셀리그만 심리학 입문서로 활용 가능)
- 《긍정의 심리학》 (Authentic Happiness) – 낙관주의와 행복의 기초 이론
- 《플로리시》 (Flourish) – PERMA 모델 정리와 심화 설명
마무리하며: 행복은 설계 가능한 기술입니다
마틴 셀리그만의 긍정심리학은 ‘심리 치료’가 아닌 ‘심리 성장’을 목표로 합니다.
PERMA 모델은 하루 15분만으로도 충분히 실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삶의 만족도와 회복력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과학적 접근입니다.
당신도 오늘부터 직접 시도해보세요.
작은 실천 하나가, 장기적인 행복 곡선을 바꿀 수 있습니다.
아들러에게서 배우는 격려의 기술: 자존감을 키우는 심리학적 방법
아들러 심리학은 ‘용기’와 ‘소속감’을 핵심 가치로 삼습니다.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실천 요소 중 하나가 바로 ‘격려(Encouragement)’예요.비난하지 않고, 단순한 칭찬도 아닌 진짜 ‘격려
ieum001.tistory.com
에릭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와 수치심 형성의 의미
에릭 에릭슨(Erik Erikson)은 인간의 전 생애를 아우르는 심리사회적 발달이론을 제시한 심리학자입니다. 그는 인간 발달을 8단계로 구분하며, 각 단계에서의 핵심 갈등이 성격 형성에 중요한 역할
ieum001.tistory.com
자존감을 키우는 긍정적인 마인드셋과 실천법
자존감이 높은 사람들은 공통적으로 긍정적인 마인드셋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도 마인드를 조금씩 바꾸는 연습을 한다면, 더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살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존감을
ieum001.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