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아들러에게서 배우는 격려의 기술: 자존감을 키우는 심리학적 방법

by 이음001 2025. 4. 15.

 

 

 

 

 

 

 

 

 

아들러 심리학은 ‘용기’와 ‘소속감’을 핵심 가치로 삼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실천 요소 중 하나가 바로 ‘격려(Encouragement)’예요.
비난하지 않고, 단순한 칭찬도 아닌 진짜 ‘격려’는 자존감을 높이고 인간관계를 건강하게 만들어주는 심리학적 기술이에요.

이번 글에서는 아들러 심리학에서 말하는 격려의 개념과 함께,
실생활에서 바로 써먹을 수 있는 격려의 기술을 자세하게 소개해드릴게요.
아이를 키우는 부모, 직장인, 인간관계에 어려움을 느끼는 분들에게 꼭 도움이 될 내용입니다.

 

 

 

아들러 심리학에서 말하는 ‘격려’란?

아들러(Alfred Adler)는 인간의 삶에서 열등감 극복소속감의 욕구를 가장 중요한 심리 동기로 봤어요.
그리고 그 열등감을 건강하게 극복하게 만드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바로 격려입니다.

아들러의 격려는 단순히 칭찬하는 것과는 달라요.
칭찬은 주로 결과에 초점을 맞추지만, 격려는 노력과 태도, 존재 자체에 초점을 둡니다.
예를 들어, “시험 잘 봤네!”는 칭찬이지만,
“공부하느라 정말 노력한 게 느껴졌어”는 격려에 더 가까워요.

 

 

왜 우리는 격려를 잘하지 못할까?

많은 사람들은 결과 중심 문화 속에서 자라왔기 때문에, 누군가를 격려하는 데 익숙하지 않아요.
또한, 스스로 격려받아본 경험이 부족한 사람일수록 타인을 격려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실수나 실패에 먼저 ‘지적’부터 하게 되는 문화,
‘비교’를 통해 동기를 부여하려는 습관도 격려를 방해하는 요인이죠.

하지만 아들러는 말합니다.
“격려는 타고나는 게 아니라, 배우는 것이다.”
지금부터라도 충분히 연습할 수 있는 심리학적 기술이에요.

 

 

실생활에서 바로 쓰는 격려의 기술 4가지

 

1. 결과보다 ‘과정’을 인정하기
"이 점수 맞았네"보다는,
"어떤 부분이 어려웠는데 계속 해내려는 모습이 인상적이었어"라고 말해보세요.
아이든 어른이든 자신의 ‘노력’이 인정받을 때 더 큰 동기부여를 얻습니다.

 

2. 비교하지 않기
"형은 잘하는데 넌 왜 못해?"는 열등감을 자극합니다.
"너는 너만의 속도가 있어"라고 말하면 상대는 자신을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돼요.

 

3. 실수에 대한 따뜻한 시선 갖기
실수했을 때 "또 왜 그래?" 대신
"실수해도 괜찮아, 그걸 통해 배우는 거니까"라고 말해보세요.
회복탄력성과 자기 효능감을 키워주는 강력한 격려 방식이에요.

 

4. 존재 자체를 지지하기
"너라서 좋아", "네가 있어서 고마워" 같은 말은
그 사람의 존재를 그대로 인정해주는 최고의 격려가 됩니다.

 

 

 

격려는 관계를 살리는 힘이다

아들러가 말한 격려는 단지 말 한마디에 그치지 않아요.
격려는 관계의 분위기 자체를 바꾸는 힘을 가지고 있어요.
비난보다 격려가 많은 가정, 학교, 직장은 더 따뜻하고 성장이 일어나는 공간이 됩니다.

특히 자녀를 키우는 부모라면, 아들러의 격려 철학을 실천해보세요.
“나는 괜찮은 사람이야”라고 느끼는 아이는,
도전도 두려워하지 않고, 실패 앞에서도 스스로를 포기하지 않아요.

 

 

아들러가 말한 격려는 누구나 실천할 수 있는 삶의 기술

격려는 특별한 사람만이 할 수 있는 기술이 아니에요.
누구나 배울 수 있고, 매일 연습할 수 있어요.

오늘 당신도 누군가에게 이렇게 말해보세요.
“그 상황에서도 너 진짜 잘 버텼어.”
그 한 마디가 누군가에겐 큰 위로가 될 수 있어요.

 

 

 

 

 

 

에릭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와 수치심 형성의 의미

에릭 에릭슨(Erik Erikson)은 인간의 전 생애를 아우르는 심리사회적 발달이론을 제시한 심리학자입니다. 그는 인간 발달을 8단계로 구분하며, 각 단계에서의 핵심 갈등이 성격 형성에 중요한 역할

ieum001.tistory.com

 

 

영아기 발달 특징 총정리! 우리 아이 성장 체크리스트

37살에 아이를 낳았습니다. 아이를 낳기만 하면 모성애가 생기는 줄 알았는데, 그렇지 않았어요. 아이도 이 세상이 처음이듯이, 부모도 아이를 키우는 세상은 처음이라 모든 것이 낯설고 어려웠

ieum001.tistory.com

 

 

영유아 발달검사, 언제 어떻게 받을까?

아이가 태어나던 날을 생각해 보면, 기적이 일어난 것 같죠. 하지만, 기쁨과 함께 걱정이 끊이지 않는 것 같아요. 아파도 걱정, 안 아파도 발달을 잘 하고 있는 것인가 걱정....저는 아이가 5살 될

ieum001.tistory.com